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서 활용하고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.
이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트렌드가 있는지부터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. 우리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대부분의 데이터들이 인터넷 공간에 있을 것이다. 그렇다면 트렌드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어떤 트렌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. 트렌드를 확인해 볼 수 있는 곳이 어디 일까?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가 네이버,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가 구글일 것이다. 그래서 각각의 사이트에서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. 그 사이트의 트렌드를 제공해 주는 곳이 바로 네이버 데이터랩, 구글 트렌드이다. 데이터를 분석하고 마케팅을 하시는 분들은 이미 유용하게 사용하고 계실 것이다. 이제 그 두 사이트에 대해서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
* 네이버 데이터랩
- 특징 :
. 네이버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.
. 검색어 트렌드, 쇼핑인사이트, 지역 통계, 댓글 통계 제공
. 조회가능 기간: 2016.1.1 ~ 전일
- 장점:
. 하위 검색어 추가
. 데이터 기준 선택 (일/주/월간)
. 디바이스 선택 (전체/PC/모바일)
. 성별, 연령 선택 (전체/남성/여성, 5년 단위)
. 네이버 쇼핑/ 네이버 키워드에서 검색되는 트렌드의 양을 따로 찾아볼 수 있다.
- 단점:
. 한번에 조회할 수 있는 키워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.
. 검색을 한 숫자가 나타나지 않고, 비율만 제공해 주고 있어 분석에 한계가 존재한다.
* 구글 트렌드
- 특징 :
. 구글 트렌드는 여러 지역과 언어로 구글 검색의 검색 쿼리의 인기도를 분석하는 구글의 웹사이트이다. 이 웹사이트는 그래프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각기 다른 검색 질의량을 비교한다. (
. 각 지역의 검색어 트렌드, 인기검색어, 올해의 검색어 등 제공
. 조회가능 기간: 2004.1.1 ~ 당일
- 장점:
. 조회 국가 선택
. 주제어 타입 선택 (검색/주제/카테고리)
. 조회 카테고리 선택 (전체/건강/게임 등 25개)
. 조회 검색영역 선택 (이미지/뉴스/쇼핑/유튜브)
. 각 년도 별로 인기 있는 키워드를 국가별로 제공하여 분석 인사이트를 확인해 볼 수 있다.
- 단점:
. 한번에 조회할 수 있는 키워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.
. 검색을 한 숫자가 나타나지 않고, 비율만 제공해 주고 있어 분석에 한계가 존재한다.
각각의 사이트네이버 데이터랩, 구글 트렌드를 잘 활용한다면 의미 있는 트렌드 분석 및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으니 활용해 보도록 하자
'데이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SQL은 무엇인가? RDBMS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? (0) | 2022.12.11 |
---|---|
빅데이터 전문 기업에 대해서 알아 볼까? (바이브 컴퍼니, 팔란티어) (2) | 2022.12.09 |
빅데이터 마케팅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볼까? (0) | 2022.12.02 |
어떤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 할까? 장단점 비교 (텐서플로우/ 파이토치/ 케라스) (0) | 2022.11.28 |
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이런 능력까지 필요해? (0) | 2022.1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