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네이버 데이터랩, 구글 트렌드를 활용해서 데이터 분석을 해보자

 

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서 활용하고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.

이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트렌드가 있는지부터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. 우리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대부분의 데이터들이 인터넷 공간에 있을 것이다. 그렇다면 트렌드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어떤 트렌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. 트렌드를 확인해 볼 수 있는 곳이 어디 일까?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가 네이버,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가 구글일 것이다.  그래서 각각의 사이트에서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. 그 사이트의 트렌드를 제공해 주는 곳이 바로 네이버 데이터랩, 구글 트렌드이다. 데이터를 분석하고 마케팅을 하시는 분들은 이미 유용하게 사용하고 계실 것이다. 이제 그 두 사이트에 대해서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 

 

네이버 데이터랩 / 구글 트렌드

* 네이버 데이터랩 

- 특징 :

   . 네이버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. 

   . 검색어 트렌드, 쇼핑인사이트, 지역 통계, 댓글 통계 제공

   . 조회가능 기간:  2016.1.1 ~ 전일  

 

 

- 장점:  

   . 하위 검색어 추가
   . 데이터 기준 선택 (일/주/월간)
   . 디바이스 선택 (전체/PC/모바일)
   . 성별, 연령 선택 (전체/남성/여성, 5년 단위)

   . 네이버 쇼핑/ 네이버 키워드에서 검색되는 트렌드의 양을 따로 찾아볼 수 있다. 

- 단점: 

   . 한번에 조회할 수 있는 키워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. 

   . 검색을 한 숫자가 나타나지 않고, 비율만 제공해 주고 있어 분석에 한계가 존재한다.

 

 

* 구글 트렌드 

- 특징 :

   . 구글 트렌드는 여러 지역과 언어로 구글 검색의 검색 쿼리의 인기도를 분석하는 구글의 웹사이트이다. 이 웹사이트는 그래프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각기 다른 검색 질의량을 비교한다. (

   . 각 지역의 검색어 트렌드, 인기검색어, 올해의 검색어 등 제공 

    . 조회가능 기간:  2004.1.1 ~ 당일 

- 장점: 

   . 조회 국가 선택
   . 주제어 타입 선택 (검색/주제/카테고리)
   . 조회 카테고리 선택 (전체/건강/게임 등 25개)
   . 조회 검색영역 선택 (이미지/뉴스/쇼핑/유튜브)

   . 각 년도 별로 인기 있는 키워드를 국가별로 제공하여 분석 인사이트를 확인해 볼 수 있다. 

 

 

- 단점: 

   . 한번에 조회할 수 있는 키워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다. 

   . 검색을 한 숫자가 나타나지 않고, 비율만 제공해 주고 있어 분석에 한계가 존재한다.

 

각각의 사이트네이버 데이터랩, 구글 트렌드를 잘 활용한다면 의미 있는 트렌드 분석 및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으니 활용해 보도록 하자